[ 질의 내용 ]
연구수당이 퇴직금 산정을 위한 평균임금에 포함되는지 여부
<현황>
∙ 당사는 연구활동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 연구지원 수당 성격의 연구수당을 연구원에게 매월 정기지급하고 있으며, 평균임금 산정 시 제외하고 있음.
∙ 연구원 운용규정 상 “연구원(계약직)에 대하여는 보수 이외의 예산의 범위 내 에서 연구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”고 규정하고 있으며, 연구원 운영규정 시행 규칙 상 “연구수당을 지급하는 경우에 지급 시기는 해당 월 10일로 하되, 지급대상 및 지급액에 관하여는 예산의 범위 내에서 이사장이 별도로 정한다.”고 규정하고 있음.
[ 답변 ]
「근로기준법」 제2조제1항제6조의 규정에 따라 ‘평균임금’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하며,
∘ 상기의 ‘임금’이란 같은 법 제2조제1항제5조의 규정에 따라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임금, 봉급, 그밖에 어떠한 명칭으로든지 지급하는 일체의 금품을 말함.
귀 질의만으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은 어려우나, 질의 상 연구수당이 연구원 운영규정에 따라 연구원을 대상으로 매월 일정금액(20~30 만원)을 연구원 직급별로 차등 지급하는 경우라면, 이는 근로의 대가로서 「근로 기준법」 상 임금에 해당하므로 평균임금 산정 시 포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됨.
(출처 : 고용노동부 질의 회시집)
'About Larbor La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근로기준법 ] (위약예정의 금지) 위약예정의 금지 관련 (0) | 2023.02.12 |
---|---|
[ 근로기준법 ] (중간착취의배제) 중간 착취의 배제 관련 여부 (0) | 2023.02.11 |
[ 근로기준법 ] (임금) 사업의 양도 및 양수에 따른 평균임금 산정방법 (0) | 2023.02.07 |
[ 고용보험법 ] (시행규칙) 수급자격이 제한되지 아니하는 정당한 이직사유 (0) | 2023.02.04 |
[ 근로기준법 ] (임금) 보상휴가 미서용으로 지급한 금품의 성격과 평균임금 산정방법 (0) | 2023.02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