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Larbor Law105 [근로기준법] 소정근로시간 이해(개념, 의의) 들어가기에 앞서... 직장생활을 하면, 결국에 마주하게 되는 것이 아마 노동법에 관한 사항들 일 것이다. 노동법은 말그대로 근로자와 사용자 간에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해서 발생되는 문제를 법률적으로 수립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. 특히나 이 법은 사용자(고용주) 보다는 근로자의 입장에서 불이익이 없도록 하기 위한 장치라고 보면 될 것이다. 오늘 알아볼 사항은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것이다. 소정근로시간이란 무엇인가? 소정근로시간은 사용자(고용주)와 근로자 사이에 정한 근로시간을 말한다. 근로기준법에서는 제50조, 제69조에 규정이 되어 있으며, 일반적으로는 기업의 취업규칙에서 정한 업무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 중 근로한 시간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. (시업 시간과 종업 시간 사이에 휴게시간은 제외함) 이러한.. 2022. 11. 9. 이전 1 ··· 24 25 26 27 다음